반응형

/*
-- Title : 온라인서비스 설문 분석
-- Reference : BDMBA
*/


연구 목적

현재 자사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WINTELIPS라는 제품의 사용 목적 및 만족도 등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고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합니다. 고객이 사용 목적 및 만족도를 체크하기 위해 “일반사항” 및 “서비스 운영”, “제공 컨텐츠”, “전반적 만족도”에 대해 회원제에 따라 어떤 결과가 반영되었는지 분석하고 향후 회원제별로 어떤 서비스 대응을 해야 할지 판단하고자 합니다.

분석 방법

설문을 아래와 같은 양식으로 진행하였고 모두 CRM DB에 저장한 후 추출하였습다.

 

1. 기술 통계량 확인

- 변수들의 케이스 수,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분산, 왜도, 첨도 등에 대한 결과이다.

- 모든 변수들의 왜도가 마이너스(-)인 것은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 그룹 회원제와 사용 목적의 관계 분석

   H0 : 그룹 회원제 간 번역 사용 목적에는 차이가 없다.

   H1 : 그룹 회원제 간 번역 사용 목적에 차이가 있다.

- Pearson 카이제곱=4.227, 자유도=3일 때 유의확률(.238)이 .05보다 크기에 귀무가설이 채택되었다.

- 즉, 회원제 별로 번역의 사용 목적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3. 서비스 컨텐츠 만족도 확인

    H0 : 고객의 전반적인 만족도 수준이 4(그렇다)이다.

    H1 : 고객의 전반적인 만족도 수준이 4가 아니다.

- T값=181.988, 자유도=853에서 유의수준(.000)이 유의확률 .05보다 작고 신뢰구간이 0을 포함하지 않기에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 즉, 고객의 전반적인 만족도 수중이 4(그렇다)가 아님을 알 수 있다.

 

4. 그룹 회원제 간 번역품질 차이 검정

    H0 : 그룹 회원제 간 번역 만족도에 차이가 없다.

    H1 : 그룹 회원제 간 번역 만족도에 차이가 있다.

 

- 일한번역을 제외한 모든 변수는 모두 등분산 유의확률이 .05 이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등분산이 가정됨’이 나타난다.

- 일한번역의 경우 F=5.313, 유의확률(.021)이 0.05보다 작기에 등분산이 아님을 알 수 있다.

- 일한번역을 제외한 모든 변수는 유의확률(양쪽)>0.05로, 그룹 회원제간 모든 번역 만족도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 즉, 그룹 회원제 간 번역 만족도에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5. 회원제 간 고객대응 만족도 검정

    H0 : 회원제 간 고객대응 만족도에 차이가 없다.

    H1 : 회원제 간 고객대응 만족도에 차이가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