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itle : [SQL2016] 사용자 정의 테이블 형식 vs. 임시 테이블
-- Reference : dbrang
-- Key word : create type temporary table 사용자 정의 테이블 형식 임시 테이블 udt
*******************************************************************************************************************/
-- 사용자 정의 테이블 형식 vs. 임시 테이블
* UDT 한번 선언으로 여러 프로시저나 스크립트에서 활용 가능.
* UDT 변경시 참조 이슈로 피곤해 질 수 있음.
* 임시 테이블은 매번 선언해 줘야 함.
* 하위 프로시저에 UDT는 파라미터로 전달해야 하고 임시테이블은 안해도 됨.
* 디버깅시 UDT는 매번 데이터 입력해야 함.
* 테이블 형식의 파라미터로 프로시저 호출은 UDT만 가능.
-- 사용자 정의 테이블 형식 예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