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 Title : 거시경제
-- Reference : BDMBA
*/


* 파이 = inflation

     |가격(파이, 물가상승률)
     | *
     |      *       |        * 공급(supply)
     |          *   |    *     SRAS(Shortest Running Aggregate Supply)
     |            * | *
     |       *      |    *
     |   *          |       * 수요(deman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수량(Y,실질GDP)
                                               AD(총 Demand)

* 명목금리(=i = FFR)
* 파이(인플레이션)이 올라가면 중앙은행에서는 선재적으로 찬물을 쏟기위해
  실질금리(r)을 높인다. 즉, 파이와 실질금리는 높인다.

* 파이 상승 = C 하락 + I 하락 + G(정부정책은 고정으로 둠) + 순수출(하락)
* 파이 상승 = 실업률 하락 (필립스 곡선)
    - 실업률 고정인데 파이 상승 사례 
      : 유가 상승, 원자재 가격 상승(input price 상승)
      : 기대 인플레이션(사람들이 오를거야...)

* 파이 상승 = Y(총 공급) 상승 (코쿤의 법칙)
* 자기 교정적 메카니즘(self-correcting mechanism)
    - 시장주의자(작은 정부 지향)
    - 경기침체(Y하락) -> 실업수당 상승, 사회보장 상승 -> Y 상승
    - 호황(Y상승) -> 세금 상승 -> Y 하락
    - 강력한 자기 교정 : GSP 갭에 따라 SRAS가 이동함

* GDP Gap = 실질 GDP와 명목 GDP의 갭
    - Gap이 + 면 경기 호황

# 조세삼총사 : 법인세, 소득세(재산세, 양도세), 부가가치세(간접세, 담배세금, 소주세금)

* Zero Lower Bound
    - (명목 이자율[i]의) 영의 하한
    - 일본이 이렇고, 유럽의 작은 선진국(덴마트..), 한국도 이렇게 될 것..
    - At i = 0 then r = -파이
    - 파이가 2%이하로 내려가면 i가 정비례하지 않음.
    - 최근 상황(R/D의 공포)

* 현재 상황(비정상적 국면)에서는...
    - 경제정책은 비전통적(unconventional) MP정책 사용해야 함

* 비전통적 MP정책(정부가 적극적으로) 3Type
    - 중앙은행이 유동성 공급
    - 자산매입(양적완화)
    - 기대관리(기대 인플레이션)
      => 결국 노림수는? Y 상승, 파이 상승을 유도 => 실질 이자율 인하

* 인플레이션의 원인
    - 통화량의 증가량(=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 시카고 (경기학과) 학파 <-> 케인즈 학파
    - 밀튼 프리드만(Milton Friedman) : "인플레이션은 언제나, 어디서나 통화량이 주범이다."

* 국민(거시) 경제
  1. 수요부문
     - 재화(실물)시장 : 실물시장이 균형되려면 '투자 = 저축' 이어야 함
     - 금융시장
  2. 공급부문
     - 노동시장
     - 총생산함수

*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 총생산 = 총소비(수요,지출) = 총소득
    - Y(GDP) = C(민간소비,가계) + I(민간투자,기업) + G(정부지출,정부) + NX(순수출=수출-수입,해외)

* IS(투자,저축) Curve
    - 실질이자율과 국민소득(Y)는 반비례

* MP(통화정책) Curve
    - 실질이자율과 인플레이션은 정비례(.=.테일러 법칙)

* AD(총 수요) Curve
    - 인플레이션(파이)과 국민소득(Y)는 반비례
    - AD Curve : 오른쪽 Shift
    - 확장 금융정책 : 기준 금리 인하, 유동성 증가
    - 확장 재정정책 : G 상승, T 인하

* 총공급(Aggregate supply) 이론
  1. 오쿤(Okun)의 법칙 : 실업률(u, unemployment rate)와 실질GDP는 반비례
     - 생산가능인구(15세 이상, 기대 수명이 늘어 조금씩 나이가 늘어나지만 기본 15세~65세까지)
       - Labor Force(경제활동인구, 노동 의지 있는 사람, 경활인)
          - 취업자(돈 받고 일하는 사람, Self고용[자영업] 포함)
          - 실업자(구직 활동 하는 사람)
       - Unlabor Force(비경활인, 노동 의지 없는 사람)
          - 임대수익자
          - 학생, 죄수
     - 실업율(u) = 실업자 / (취업자 + 실업자)

     # 고용률 = 취업자 / (비경활인 + 취업자 + 실업자 = 생산가능 인구)
          미국 같은 나라는 실업율 5%면 완전 고용이라 할 수 있음
          한국 같은 나란느 실업율 3%? 구라..
     # 우리나라 청년 : 29까지, 미국은 : 25세

  2. 필립스(Phillips) 곡선
      - 인플레이션(파이)과 실업률(u)은 반비례
      - 영국의 100년치 데이터로 분석(미국도 따라해 보는데 반비례)

  3. AS(총공급) Curve(SRAS, Short A)는
      - 인플레이션(파이)증가 ---필립스--> 실업률(u) 하락 ---오쿤--> 실질GDP 증가
      - 인플레이션(파이)와 실질GDP는 정비례

* SRAS의 위로 Shift 요인
    -  ?
    - 자기교정 메커니즘
    - ? 

* 진정한 균형
    - SRAS(단기 총공급)와 AD가 LRAS(장기 총공급)와 모두 겹치는 Point.

# 경제 이론
    - 균형의 안정성이 있어야 함
    - 불균형이 발생시 다시 균형으로 돌아가려는 속성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