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 Title : 이자율의 움직임
-- Reference : BDMBA, 미쉬킨의 화폐와 경제
-- Tag : 자산수요 재산 기대수익률 위험 유동성 채권시장 균형이자율 기대 인플레이션 유동성 선호 모형 통화공급 통화증가율 화폐증가율
*/

■ 자산 수요의 결정 요인
    • 재산 (wealth)
       - 각종 자산을 포함해 개인이 소유한 모든 자원
    • 기대수익률 (expected return)=E(R)
        - 보유기간 동안 예상되는 수익률로서, 다른 자산에 대비한 그 자산의 상대적인 기대수익률
    • 위험 (risk)=V(R)
        - 수익률의 변동성, 불확실성으로 다른 자산에 대비한 그 자산의 상대적인 위험
    • 유동성 (liquidity)
        - 자산을 얼마나 쉽게 그리고 얼마나 빠르게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속성
        - 다른 자산에 대비한 그 자산의 상대적인 유동성

■ 포트폴리오 선택이론(theory of portfolio choice)
    •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때:
        1. 재산이 증가하면, 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
        2. 다른 자산에 비해 어떤 자산의 기대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 그 자산에 대한 수요량이 증가
        3. 다른 자산에 비해 어떤 자산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커지면, 그 자산에 대한 수요량이 감소
        4. 다른 자산에 비해 어떤 자산의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 그 자산에 대한 수요량이 증가

재산, 기대수익률, 위험, 유동성의 변화에 따른 자산 수요량의 반응

■ 채권시장의 수요와 공급
    • 채권의 수요
        -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채권가격이 낮을수록 (이자율이 높을수록), 그 채권에 대한 수요량이 증가; 음(-)의 관계
    • 채권의 공급
        -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채권가격이 낮을수록 (이자율이 높을수록), 그 채권에 대한 공급량이 감소; 양(+)의 관계

채권의 수요와 공급

■ 채권시장의 균형
    • 시장균형
        - 어떤 가격 수준에서 사람들이 사려고 하는 수량(수요량)이 사람들이 팔려고 하는 수량(공급량)과 일치할 때 발생
    • B^d = B^s 일 때
        - 균형가격과 균형이자율이 결정됨
    • B^d > B^s 이면
        - 초과수요가 발생해 채권가격이 상승하고 이자율은 하락
    • B^d < B^s 이면
        - 초과공급이 발생해 채권가격이 하락하고 이자율은 상승

■ 균형이자율의 변동
    채권수요의 이동(shifts in the demand for bonds):

    • 재산
        - 재산이 증가하는 경기확장기에는 채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채권의 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
    • 기대수익률
        - 미래에 예상되는 이자율이 높아지면, 장기채권의 기대수익률이 낮아지고 수요곡선은 왼쪽으로 이동
    • 기대 인플레이션
        -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 채권에 대한 기대수익률이 낮아져 수요곡선은 왼쪽으로 이동
    • 위험
        - 채권의 위험이 증가하면, 수요곡선은 왼쪽으로 이동
    • 유동성
        - 채권의 유동성이 증가하면, 수요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 

채권 수요곡선의 이동
채권 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 채권 공급의 이동
    • 투자기회의 예상 수익성
        - 경기 확장기에는 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

    • 기대 인플레이션
        - 기대 인플레이션이 증가하면 공급공선은 오른쪽으로 이동
    • 정부 재정 적자
        - 정부 재정 적자가 커지면 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

채권 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채권 공급곡선의 이동
기대 인프레이션의 변화에 대한 반응
기대 인플레이션과 아자율(3개월 만기 재무부 증권), 1953년~2011년
경기확장에 대한 반응
경기변동과 이자율(3개월 만기 재무부 증권), 1951년~2011년

■ 화폐시장의 수요와 공급: 유동성 선호 모형(liquidity preference framework)
    • 화폐의 수요와 공급을 분석해 균형 이자율을 설명하는 케인즈의 이론

화폐시장의 균형

■ 유동성 선호(liquidity preference) 이론에서의 통화수요
    • 이자율 상승에 따라:
        - 화폐 보유의 기회 비용이 증가하고

        - 화폐의 상대적인 기대수익률이 하락하며..
    • 그 결과 화폐에 대한 수요 감소

■ 유동성 선호(liquidity preference) 이론에서의 규현이자율 변동
    통화수요의 이동(shifts in the demand for money)
    • 소득 효과 (income effect)
        -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각 이자율 수준에서 화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수요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
    • 물가 효과 (price-level effect)
        - 물가가 상승하면 각 이자율 수준에서 화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수요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

■ 통화공급의 이동(shifts in the supply for money)
    • 통화의 공급은 중앙은행에 의해 통제된다고 가정
    • 중앙은행이 통화공급을 증가시키면 통화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

통화의 수요 및 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들
소득 또는 물가의 변화에 대한 반응
화폐 공급의 변화에 대한 반응

■ 물가 효과와 기대인프레이션 효과
    • 화폐공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면 물가가 상승해 계속 높은 수준에 머물게 되며, 
    • 물가수준의 상승에 따라 이자율이 상승
    • 따라서 물가효과는 물가수준이 상승하기를 멈춘 후에도 계속 남아있음. 

    • 물가수준이 상승하는 동안에는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해 이자율이 상승. 
    • 그러나 물가수준이 상승하기를 멈추면 기대 인플레이션은 0이 됨.
    • 따라서 기대인플레이션 효과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물가수준이 계속 상승해야 함.

■ 통화증가율이 높아지면 이자율이 낮아질까?

    • 유동성 효과(liquidity effect)
        - 유동성선호 이론에 따르면,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때 통화공급이 증가하면 이자율은 하락

    • 소득 효과 (income effect)
        - 화폐공급이 증가하면  경제를 확장시키기 때문에, 화폐의 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이자율이 상승
    • 물가 효과 (price-level effect)
        - 화폐공급이 증가하면 물가수준이 높아지므로, 화폐의 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이자율이 상승
    • 기대인플레이션 효과 (expected-inflation effect)
        - 화폐공급이 증가하면 사람들의 인플레이션 예상이 높아지므로, 이자율이 상승

통화증가율의 상승에 따른 시간적 반응
화폐 증가율(M2, 연율)과 이자율(3개월 만기 재무부 증권), 1950년~2011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