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itle : 화폐란 무엇인가?
-- Reference : BDMBA,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
-- Tag : 화폐 지급결제시스템 통화량 지표
*/
■ 화폐의 의미
• 화폐란 무엇인가?
-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지금이나 채무의 상환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어떤 것
• 보다 넓은 의미의 정의
• 통화(money: 저량 stock 개념)
• 재산(wealth)
- 일정 시점(현재 또는 년말)에 보유하고 있는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소유물 총액
• 소득(income: 유량 flow 개념)
- 일정 기간(1년)동안 벌어들인 수입의 흐름
■ 화폐의 기능
• 교환의 매개수단
- 욕구의 쌍방간 일치를 찾는 수고 해소(거래 비용 절감)
- 특화 및 분업을 촉진
• 교환의 매개수단의 요건
- 표준화가 용이해야 함
- 널리 받아들여져야 함
- 가치를 나눌 수 있어야 함
- 갖고 다니기 쉬워야 함
- 빠르게 가치가 떨어지지 않아야 함
• 계산 단위(unit of account)
-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데 사용
- 거래비용을 절감
• 가치의 저장수단(store of value)
- 일시적으로 구매력을 저장하는데 사용
- 다른 자산도 이러한 기능을 수행
- 화폐는 모든 자산 중에서 가장 유동성(liquidity)이 높지만 인프레이션 시기에는 가치 하락
■ 지급결제시스템의 진화
• 상품화폐(commodity money)
- 가치가 있고 표준화가 용이하고 분할 가능한 상품(ex. 귀금속, 담배)
• 법화(legal tender; fiat money)
- 법적인 화폐로서 정부가 통용을 선언한 지폐
• 수표
- 거래은행에게 수표를 방행한 사람의 은행계좌에서 자금을 이전시킬 것을 지시하는 수단
• 전자지금결제수단
- ex. 온라인 대금 지금
• 전자화폐(e-money)
- 직불카드
- 가치저장카드(스마트카드)
- 전자현금(e-cash)
■ 우리는 현금없는 사회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가?
• 금융혁신 및 지급결제수단의 발달로 통화가 거의 없는 경제(cashless limit economy)로 발전하고 있음
- sweep account, RP , credit card 등
• 전자화폐는 장표에 근거한 지급결제시스템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이지만, 장표시스템이 사라지는 것을
막는 몇 가지 요인 존재
• 그러나 여전히 전자화폐의 사용은 미래에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 통화량의 측정
• 통화량을 어떻게 측정하는가? 어떤 특정한 자산을 ‘화폐’로 부를 수 있을까?
• 유동성의 개념을 이용한 통화량 지표의 측정
• M1 (가장 유동성이 높은 자산) = 현금 + 여행자 수표+ 요구불예금+ 기타 수표발행 예금
• M2 (M1에다가 유동성이 M1보다는 다소 낮은 다른 자산을 포함) = M1 + 소액 정기예금+ 저축예금과
MMDA + MMF 지분(소매)
■ M1 vs. M2
• MB(monetary base or high-powered money), M1과 M2는 단기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음
• 중앙은행은 거시경제변수와 안정적인 관계를 갖는 통화지표를 선택하여 통화정책의 정보변수로 이용할 수 있음
■ 미국 달러는 어디에 있는가?
• 미국에서 1인당 3,000달러 이상 보유한다는 것은 놀라운 사실
• 이러한 달러는 어디에 있고 누가 보유하는가?
- 범죄인(underground economy)
- 외국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