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itle : 금융시스템의 개요
-- Reference : BDMBA,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
-- Tag : 금융시장 금융중개기관 직접금융 간접금융 금융시스템
*/
■ 금융시장의 기능
• 여유자금을 갖고 있는 경제주체(저축, 대부자)로부터 자금이 부족한 사람(차입, 지출자)에게
자금을 전달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
• 저축과 투자를 연계시킴
• 직접금융
- 차입자가 증권(금융수단)을 판매함으로써 금융시장에서 직접 대부자의 자금을 차입
• 소비자들이 원하는 시점에 구매행위를 잘하게 함으로써 후생을 증대
- 항상소득가설(PIH) 또는 생애소득가설(LCH)은 free borrowing and lending을 가정
• 생산을 증가시키는 자본의 효율적 배분을 통해 경제의 효율성을 증대
■ 금융시장의 구조
• 채무시장과 지분시장
- 채권과 같은 채무증서(만기 유) 발행하거나,
- 주식(만기 무)과 같은 지분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 가능
• 채권소유자는 이자를 받으며,
- 주식소유자는 배당을 받고 잔여청구권(residual claim)을 가짐
• 채권, 주식 등 신규 발행된 증권을 최초 매수자에게 판매하는 발행시장,
기 발행된 증권이 다시판매되는 유통시장
- 발행시장에서 투자은행이 증권을 인수(underwrite)해 일반 투자자에게 판매
- 유통시장에서 중개인(broker)는 증권의 매수자와 매도자를 단순히 연결하고
딜러(dealer)는 호가로 증권을 매매함으로써 매수자와 매도자를 연결
• 유통시장은 거래소와 장외시장(Over-the-Counter, OTC)으로 조직
- (조직화된) 거래소: NYSE, Chicago Board of Trade(CBOT)
- 장외시장: 외환 및 페더럴펀드시장처럼 장외시장 딜러는 주로 컴퓨터로 접촉하고
서로 설정한 가격을 앎으로 매우 경쟁적인 시장
• 단기금융시장과 자본시장
- 단기금융시장에서는 단기 채무증서가 거래
- 자본시장에서는 장기 채무증서와 주식이 거래
■ 금융시장의 국제화
• 외국채
- 외국에서 팔리며 해당 외국통화로 표시
• 유로본드
- 이것이 팔리는 국가의 화폐 이외의 화폐로 표시된 채권
• 유로커런시
- 자국 이외 지역의 은행에 예금된 외국통화
- 유로달러 : 미국 이회 지역의 은행이나 미국 은행의 해외지점에 예금된 미국 달러
• 제계의 주식시장
- 금융시장의 국제화는 통합된 세계졍제의 길을 선도
■ 금융중개기관의 기능: 간접금융
• 금융거래에 수반되는 거래비용(시간과 돈)을 줄여 줌
-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 발휘
- 유동성(liquidity) 서비스 (요구불예금) 제공
• 투자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줄여 줌
- 위험(투자수익의 불확실성)분담: 안전자산(예금)을 위험자산으로 변환(asset transformation)
- 분산투자(diversification)
• 비대칭적인 정보(asymmetric information) 문제를 완화
- (거래 이전) 역선택(adverse selection)
위험성이 높은 자금 차입자를 피하기 위한 노력으로 잠재적 차입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
- (거래 이후) 도덕적 해이(moral hazard)
대출 상환의 가능성을 낮추는 경제활동을 못하게 하는 제한조항을 담은 계약을 맺음
• 결론
- 금융중개기관은 금융시장을 통해 소규모 자금 대부자와 자금 차입자들의 편익을 증가
■ 금융시스템에 대한 규제
• 투자자에게 이용 가능한 정보 확산
- 역선택과 도덕적 위험 문제 완화
- 내부자 거래 줄임(SEC)
• 금융중개기관의 건전성 확보
- 진입규제(인가제도)
- 정보 공시
- 자산과 업무에 대한 제한(위험이 높은 자산 보유 제한)
- 예금보험(대규모 예금인출사태 방지)
- 경쟁제한(대부분 과거에 시행)
지점개설 제한, 이자율에 대한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