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itle : 화폐와 금융 개요
-- Reference : BDMBA,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
-- Tag : 금융시장 주식시장 채권시장 금융기관 화폐 통화정책 재정정책 외환시장 이자율
*/
■ 금융시장
• 여유 자금이 있는 사람과 기업으로부터 자금이 필요한 사람과 기업에게 자금을 전달하는 시장
• 금융(finance) : 자금을 융통하는 것
■ 채권시장과 이자율
• 증권(securities) 또는 금융수단(financial instrument)
- 미래 소득이나 자산에 대한 청구권
• 채권(bonds)
- 특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이자 및 원금을 지급하기로 약속한 채무증권
• 이자율(interest rate)
- 자금 차입(차입비용)에 대해 지급하는 가격
■ 주식 시장
• 주식(보통주, common stock)
- 기업의 소유권에 대한 지분(equity)를 나타냄
• 주식 지분은 기업의 잔여 이윤과 자산에 대한 청구권(residual claim)
■ 금융과 금융기관
•금융중개기관
- 저축자로부터 자금을 차입하여 다른 부문에 대출을 해줌
- 은행 : 예금을 받고 대출을 하는 금융기관
- 기타 금융기관 : 보험회사, 파이낸스회사, 연기금, 뮤추얼펀드, 투자은행
•금융혁신
- 새로운 금융상품과 금융서비스의 출현
- 금융시스템을 더욱 효율적이게 하는 영원한 원동력
■ 금융위기
• 금융시장의 붕괴
• 자산가격의 폭락과 금융기관과 비금융기업의도산을 특징
■ 화폐와 통화정책
• 실증적 증거에 의하면 금리, 통화량 등은 경기변동(business cycle)과 중요한 관계
• 경기후퇴(실업)와 경기확장은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침
• 화폐이론은 화폐공급의 변동을 국민소득 및 인플레이션의 변동과 연결
■ 화폐와 경기변동 및 인플레이션
•물가수준은 경제 전체의 상품과 서비스 가격의 평균.
•물가수준의 지속적 상승(인플레이션)은 모든 경제 주체들에게 영향
•인플레이션의 근본원인: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상호작용
■ 화폐와 이자율
• 이자율은 신용(대출)의 가격
• 1980년 이전에는 통화증가율과 재무부 장기채권 이자율 사이에 밀접한 관계
• 이후 이러한 관계는 덜 명확해졌으나 통화증가율은 여전히 이자율 결정의 중요한 요인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 통화정책
- 중앙은행(central bank)이 이자율 및 화폐공급을 조절하는 행위
- 미국에서는 연방준비제도(Fed)에서 담당
• 재정정책
- 정부가 재정지출과 조세를 결정하는 행위
- 재정적자는 보통 1년이라는 일정 기간 중 정부지출이 조세수입을 초과할 때 발생
- 재정흑자는 보통 1년이라는 일정 기간 중 조세수입이 정부지출을 초과할 때 발생
- 재정적자는 차입을 통해 충당되어야 함
■ 외환시장
• 한 국가의 화폐가 다른 국가의 화폐로 교환되는 시장
• 환율은 외국화폐에 대한 자국화폐의 가격
• 외환시장에서 환율이 결정
■ 국제 금융시스템
• 금융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점차 통합
• 국제 금융시스템은 국내 경제에 큰 영향
- 한 국가의 환율정책의 선택이 통화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자본통제는 국내 금융시스템과 경제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IMF와 같은 국제금융기구의 역할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 화폐와 금융 Study 방법
• 자산수요에 대한 단순 접근 방법
• 균형의 개념
• 금융시장의 행태를 설명하기 위한 기본적 수요와 공급
• 이윤의 추구
• 거래비용과 정보의 비대칭성에 근거한 금융구조에 대한 접근방법
• 총수요와 총공급 분석